생소의 긴글통

〈논쟁으로 읽는 한국사〉 목차와 참고 문헌 본문

그 외

〈논쟁으로 읽는 한국사〉 목차와 참고 문헌

생소 (Sngso) 2020. 5. 14. 17:06

전근대

원시-고대

고대국가의 초기 형성

부족국가론의 설정과 논란

부족국가론의 정착과 한계

성읍국가론의 출현과 발전

취프덤론 수용 시도

취프덤론을 둘러싼 논란

초기국가 형성 논쟁의 향방

 

상상 속의 고조선, 역사 속의 고조선

고조선 위치 문제가 주목을 끈 이유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고조선 연구

일본 관학자와 민족주의 역사학

해방 후의 북한 학계

해방 후의 남한 학계

고조선의 지배체제와 사회성격

고조선의 정치체제와 삼국사회로의 계기성

글을 마감하며

 

적석목곽분으로 들여다본 신라

 

적석목곽분이란 무엇인가

적석목곽분의 발굴과 초보적 연구

편년을 위한 노력

신라사의 복원

적석목곽분에 대한 관심과 해석

 

고대사회와 철제 농기구

 

철제 농기구의 변화와 그 시기

주조 철부는 괭이로도 사용되었을까

무덤 부장 농기구는 실용구인가 부장용인가

우경은 언제 시작되었나

논의 다양한 형태,네모꼴과 사다리꼴

농기구는 누가 소유했을까

미사리 밭과 상경ㆍ휴한농법 논쟁

수륙 겸종과 전사법

수리시설의 발달과 경영주체

 

임나일본부와 고대 한일관계

임나일본부설의 성립

기마민족 정복왕조설

일본열도 내 분국설

위왜 자치집단설

백제군 사령부설

임나지배설의 축소및 외교교역설

안라왜신관설의 제기

 

고려-조선

 

한국 중세는 언제 시작되었나

 

시대구분법과 중세사회론

중세기점 논쟁의 추이

중세기점 논쟁의 분야별 전개

중세적 토지소유와 국가의 조세 수취

상경화 기점을 둘러싼 논쟁

국가의 조세체계와 조세부담 농민의 지위

토지분급제의 성격과 운영

공동체 성격의 변화

공동체 문제와 중세기점

공동체 역할의 재평가와 중세기점 논의

중세기점 논쟁의 전망

 

고려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1930년대 사적유물론 입장에서 본 고려사회

1960년대 토지소유론자들이 바라본 고려사회

1970년대 지배세력론 입장에서 본 고려사회

고려사회 지배세력의 성격귀족제론과 관료제론

새로운접근문벌사회론과 다원사회론

귀족 개념에 대한 환기,문벌사회론

다원사회론의 등장

 

고려 초기의 정치체제와 호족연합정권

호족의 개념과 성격

호족의 귀부를 어떻게 볼 것인가

중앙정치제도

지방제도

논쟁의 의미와 전망

 

전시과체제에서 사전의 성격

고려시대 토지소유의 실체

전시과의 사전에 대한 다양한 학설

전시과체제에서 사전의 성격

남은 과제

 

고려시대의 농업생산력은 어느 정도였나

식민사관 극복을 위하여

농업생산력 연구의 내용과 쟁점

휴한단계로 파악하는 입장들

연작상경단계로 보는 입장들

결부제의 문제

농업생산력 연구의 과제

 

고려시대의 신분제

신분ㆍ계층의구조

귀족사회인가 관료사회인가

중간계층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백성,백정과 정호의 정체는 무엇인가

부곡제 지역민은 양인인가 천인인가

 

26위는 어떤 이들로 구성되었을까

논쟁의 역사적 배경

부병제론의 내용

군반제론의 내용

이원적 구성론

지방군의 중앙 번상 여부

중앙군의 신분과 사회적 지위

군인전의 내용과 성격

군제사에서 각 군제의 위치

논쟁의 의미

 

삼별초는 어떤 조직인가

무인정권과 민의 항쟁

무인정권의 사병과 삼별초

대몽항쟁과 삼별초

맺음말

 

원 간섭기 개혁정치의 성격

사대부의 반원개혁

측근정치의 폐단을 바로잡는 정치개혁

계급갈등의 폭발과 개혁정치

원 간섭기 개혁정치의 역사적 의미

 

고려ㆍ조선의 친족제도

 

가족ㆍ친족제도 연구의 배경

친족제도 관련 분야의 연구

부처의 형태 : 일부다처제 혹은 일부일처제

상속제도 : 자녀균분상속 혹은 적장자우대상속

가족ㆍ친족 규모 : 대가족제설과 소가족제설

친족의 조직원리와 형태

부계 친족집단 연구

친족조직원리 및 친족형태에 대한 실증적 연구

부계 친족집단의 부인

양측적 친속

친족제도 연구의 현실적 의미

 

조선왕조 성립을 어떻게 볼 것인가

정체에서 발전으로

조선왕조 성립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신사회 건설과 양천제의 성립

생산력 발전과 사회변동

정치구조의 재편과 지배층의 교체

조선왕조 성립의 역사상

 

훈구와 사림

 

붕당정치론의 제기와 사화에 대한 관심

사림과 훈구 대립의 경제적 배경

훈구의 비리

훈구의 탄핵과 언론기능의 강화

무오사화의 발생

낭관의 정치적 지위 강화

기묘사화의 극복과 붕당정치의 정립

 

인조반정과 서인 정권

인조반정의 전말

인조반정에 대한 부정적 평가

인조반정의 역사적 의미를 인정하는 주장

맺음말

 

실학, 환상인가 실체인가

민족운동으로서의 실학조선학운동

반식민사학으로서의 실학

실학의 개념과 성격

실학의 범위와 유파

실학과 근대사상

맺음말

 

내재적 발전론과 한국사인식

맑스주의의 유물사관

식민주의사관

식민주의사관 비판

북한 학계의 내재적 발전론

남한 학계의 내재적 발전론

일본 학계의 내재적 발전론

내재적 발전론의 의의

 

근현대

일제강점기

 

개화사상과 근대국가 건설론

186070년대 서구문명 수용논쟁:척사론과 개국론

1880년대 국제적 지위 논쟁 : 독립론과 속방론

대한제국 국체 논쟁 : 군민공치론과 황제권 강화론

1905년 이후 보호국의 위상과 입헌군주제 논쟁

 

단발과 근대성

단발령 공포의 배경

단발령 공포와 강제단발 시행

단발반대 상소와 의병봉기

단발령 취소

단발령의 역사적 성격

 

대한제국의 역사적 평가

대한제국 당시의 평가

광무개혁ㆍ대한제국논쟁

통설화된 대한제국관에 대한 의문들

논의의 진전을 위해

 

을사조약은 성립되었는가

을사조약의 성격과 합법성 여부

고종의 부인

프랑시스 레이의 을사조약 무효론

을사조약은 성립하지 않았다

 

개신교와 전통사상의 충돌

1920년대 기독교 토착화 논쟁의 의미

한글판바이블과 개신교식 신조어

기독교 토착화의 양상

개신교 내부의 종교운동과 토착화사업

 

김윤식 사회장 파동

동아일보사 중심의 사회장 추진

사회장 반대가 불거지다

사회장 반대 그룹 내부의 분화

 

물산장려운동과 민족주의ㆍ사회주의

한일 간 관세철폐로 촉발된 물산장려운동

토산애용과 산업진흥

 

임시정부 개조론과 창조론

노선차이와 내부분열

최대쟁점은 임정의 존폐

민족유일당운동의 출발

 

이승만의 독립운동

대미외교와 위임통치 청원

구미위원부와 반소ㆍ반공 선전

 

이광수의민족개조론에 나타난 민족성

문화통치와 민족개량의 결합

민족성은 곧 민족의 도덕성

쏟아지는 민족개조론 비판

우향우의 전진

 

사회주의세력의 통일전선운동과 정우회 선언

통일전선의 요구와 신간회 결성

정우회 선언과 전진회 검토문

사상단체 해체논리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 상설ㆍ비상설 논쟁

프롤레타리아 헤게모니 전취 찬반 논쟁

 

프로문학 논쟁

프로문학의 대두,논쟁 3파전

염상섭과 양주동,유사성과 차별성

프로문학의 자기반성과 민족문학론

 

만주 지역 민족유일당 결성론

1920년대의 역사적 조건

통일전선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가

촉성회파와 협의회파의 분열

 

국제공산당의 일국일당 원칙이 미친 파장

코민테른의 일국일당 원칙

객관적 정세의 변화와 만주특수론 폐기

일국일당 원칙에 대한 논쟁

중공당 가입방법을 둘러싼 논쟁

조선연장주의의 폐기

 

재일조선인의 민족해방운동

조일연대

세몰이 속 조선혁명의 방향전환

방향전환,그리고 조선혁명

 

만주 동포의 국적과 정체성

재만조선인 관할권 및 간도영유권 문제

간도협약 유효ㆍ무효논쟁

만보산 사건전후 조ㆍ중ㆍ일 논쟁

 

1930년대 조선학 논쟁

파시즘체제의 재현과 조선 연구

조선학에 대한 비판

학술계 성장과 발전에 기여

 

일제강점기 단군 논쟁

단군말살론과 불함문화론

주요 학자들의 저술과 논쟁점

남은 문제

 

서양의학의 도입과 한의학의 과학성 논쟁

서양의학과 보건의료 도입

의료수요의 팽창과 한의학 부흥

9개월간의 연속 논쟁

한의 내부 논쟁

과학성과 근대성에 대한 최초의 반성

 

신사참배와 우상숭배

군국주의와 신사참배

신사참배는 종교행위인가

강요금지 청원과 거부권유

교회의 분열 요인이 된 신사참배

 

해방~1960년대

 

우익의 반탁 주장과 좌익의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정' 지지

해방과 한반도 처리 문제

반탁투쟁의 목표

찬ㆍ반탁투쟁과 분단

 

국대안 파동

좌우익 대결의 쟁점

국립대학의 필요와 교육 엘리트

국대안 찬반 논리

격렬한 반대행동의 확산맹휴

 

토지개혁과 농지개혁

농지개혁 내용을 둘러싼 논쟁

농지개혁 평가와 성격 논쟁

 

해방 직후 좌우익의 민족문학 논쟁

민족문학 건설의 기치

김동리와 조지훈의 민족문학론

어설프게 결말을 본 논쟁

 

한국전쟁기 도강파와 잔류파

이승만 정부의 거짓 선전

잔류파 사상검증작업

전후 반공체제 구축의 예광탄

 

북한에서의 노동조합 독자성

사회주의체제의 정비

직업동맹의 역할 논쟁

복종하는 노동자계급의 형성

 

북한의 농업협동화와 중공업 우선노선

시장중시이론을 주장했던 비주류 경제학

중공업노선 논쟁 : 균형성장과 불균형성장론

농업협동화 : 급진주의와 점진주의

평가와 현재적 의미

 

북한 문학계의 도식주의 논쟁

도식주의ㆍ기록주의비판

도식주의 비판에 대한 반발과 수정주의 비판론

도식화의 강화와 주체사상

 

북한의 조선 근세사 시기구분

1950년대 : 논쟁의 시대

사회구성체 기준설과 계급투쟁 기준설

근세사를 6개의 발전단계로 구분

 

정비석의자유부인을 둘러싼 논쟁

윤리 붕괴 주장의 내용과 실제

불륜보다 권력의 작용이 더 문제

통쾌한 결말

 

이승만과 한글간소화 파동

구 성경 맞춤법으로 돌아가라

8년간의 지리한 파동과 그 결말

독단에서 얻는 교훈

 

1950년대 비구와 대처승의 갈등

불교분쟁의 시작

식민불교의 청산과 정통성 문제

비구ㆍ대처승 분규와 권력개입

이승만과 비구정화운동의 한계

 

평화통일론과 진보당 사건

조봉암과 이승만 정권의 위기의식

평화통일론의 위법성과 간첩 여부

이승만 정권의 정치적 희생양

 

국가보안법 개정파동

민주당과 진보당의 약진

24파동의 서곡

날치기 통과와 야당의 농성투쟁

자유당의 독주

 

경제개발계획을 둘러싼 공방

전후 부흥과 경제개발계획 요구

민간주도형 경제개발론

국가주도형 경제개발론

사회민주주의형 경제개발론

경제개발의 내적 동력

 

4월혁명과 통일논의

419와 통일운동

중립화 통일론

남북협상론

선건설 후통일론

분단고착화 저지 노력으로 평가

 

한일회담 반대파동

14년간 계속된 한일회담

근대화ㆍ반공연대인가 신제국주의침략인가

역사청산인가 흑막외교인가

잊혀진 문제들

 

문학에서의 순수와 참여

문학에서의 순수ㆍ참여 개념

참여는 필연적 양식의 결정체

세 개의 논전으로 마무리

문학의 현실연관성 획득

 

베트남 파병

3공화국의 정치적 돌파구

베트남 파병의 시작,12차 파병

전투부대의 참전 시작

3세계인식과 지식인

 

중산층과 중소기업

경제개발의 진행과 중산층 육성 문제

대기업주의와 중소기업 소멸론

대기업의 성격과 중소기업 개편방안

 

고속도로와 지역불균등발전

고속도로의 역할과 기능

지역불균등발전의 두 차원서울 집중과 영남 집적

 

1970년대 이후

 

한국적 민주주의와 유신체제

정치이데올로기로서의 민족적 민주주의

한국적 민주주의1인독재

 

1970년대 청년문화론

청년문화ㆍ청춘문화

대중문화는 청년문화인가

다시 보는 청년문화론

 

입시제도와 평준화 논쟁

진학률의 성장과 입시경쟁

무시험 입학과 평준화

이해관계에 따른 추정 논쟁

교육방향과 이념논의를 위하여

 

유신 정권의 국정 국사교과서 비판

유신체제와 국사교육 강화

국사교육의 목표와 교과서 단일화 추진

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과 논란

 

역사 연구에서의 현재성

분단현실에 대한 자각과 통일노력

역사에서 현재는 무엇인가

현실해석에서 역사가의 역할 문제

 

민중과 민중사학

역사 개념으로서의 민중의식

민중 개념의 차별화와 변혁주체론

변혁주체론적 관점과 민중론의 분화

신중간층 문제

1990년대 이후 논쟁의 퇴조

 

김일성 가짜설

가짜 김일성론의 대두

가짜 김일성론의 내용과 폐해

역사적 사실규명의 어려움

 

6월항쟁 시기 NLCA논쟁

학생운동의 변혁지향성 강화

민족모순과 계급모순의 변증법

대중노선과 선도투쟁

현실에 대한 치열한 고민

 

1987년 대통령선거 논쟁

6월항쟁으로 얻은 대통령 직선제

비판적 지지,후보단일화,독자후보

 

교원노조 결성을 둘러싼 공방

합법과 불법의 기로에서

교사는 노동자인가

의식화 논쟁과 참교육

 

노동운동과 제3자개입금지 조항

노동법 개악과 민주노조의 대응

노ㆍ사ㆍ정의 공방

폐지론

존치론

 

노동자의 정치참여 논쟁

노동자 정치참여를 둘러싼 보수지배집단과의 갈등

좌익세력ㆍ정치세력에 이용될 수 있어

정치참여는 인간의 기본권이자 권익향상에 필요

끝나지 않은 혼란과 논쟁

 

보안감호처분

유신 정권과 사회안전법

날치기 통과된 사회안전법

반인권ㆍ비민주의 실체

사회안전법이 폐지되기까지

여전히 계속되는 사상전향 관련 논쟁

 

사형제도 존폐 논쟁

계몽주의와 사형폐지론의 등장

존치론 : 응보론과 일반예방론

폐지론 : 개선가능성론과 오판가능성론

 

박정희 신드롬

박정희 신드롬의 등장과 확산

개발독재에 대한 평가:적극적 지지에서 적극적 비판까지

박정희 신드롬의 원인과 성격

 


 

전근대

 

고대국가의 초기 형성

백남운, 조선사회경제사, 개조사, 1933(하일식 옮김, 이론과실천, 1994).

손진태, 조선민족사개론, 을유문화사, 1948.

김철준, 한국 고대국가 발달사, 한국일보사, 1975.

천관우 편, 한국상고사의 쟁점, 일조각, 1975.

이기백, 한국사신론(개정판), 일조각, 1976.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1.

김정배, 한국고대의 국가기원과 형성, 고려대출판부, 1986.

이기동, 한국 고대국가형성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산운사학(汕耘史學)3, 1989.

노태돈 외, 현대 한국사학과 사관, 일조각, 1991.

한국고대사연구회,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민음사, 1990.

이기백, 한국 고대정치사회사 연구, 일조각, 1996.

최몽룡ㆍ최성락 편, 한국 고대국가형성론, 서울대 출판부, 1997.

이종욱, 한국 고대사의 새로운 체계, 소나무, 1999.

 

상상 속의 고조선,역사 속의 고조선

리지린, 고조선 연구, 과학원출판사, 1963.

이종욱, 고조선사 연구, 일조각, 1993.

윤이흠 외, 단군그 이해와 자료,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오강원, 고조선 위치 비정에 관한 연구사적 검토 (1)(2), 백산학보4748, 19961997.

김정배 외, 한국사 4: 초기국가 고조선ㆍ부여ㆍ삼한, 한길사, 1997.

북한 사회과학출판사, 고조선 력사 개관, 1999.

송호정, 고조선 국가형성 과정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8.

송호정, 조조선 중심지 및 사회성격 연구의 쟁점과 과제, 한국고대사논총10, 2000.

노태돈 편저,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0.

 

적석목곽분으로 들여다본 신라

박보현, 관모전립식 금구를 통해 본 적석목곽분 시대의 사회조직, 고대연구1, 고대연구회, 1988.

박보현, 적석목곽분의 계층성 시론, 고대연구3, 고대연구회, 1992.

최병현, 신라고분연구, 일지사, 1992.

이성주, 신라식 목곽묘의 전개와 의의, 신라고고학의 제문제20회 한국고고학 전국대회 발표요지, 1996.

김용성, 신라의 고총과 지역집단, 춘추각, 1998.

이희준, 45세기 신라의 고고학적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8.

 

고대사회와 철제 농기구

有光敎一, 慶州積石塚出土農具いて, 朝鮮215, 1933.

鑄方貞亮, 古代における南朝鮮農具いて, 社會經濟史學810, 1939.

石上英一, 古代における日本稅制新羅稅制, 古代朝鮮日本, 1974.

武田幸男, 眞興王における新羅赤城經營, 朝鮮學報93, 1979.

김용섭, 전근대의 토지제도, 한국학입문, 1983.

김재홍 a, 신라 중고기의 저습지 개발과 촌락구조의 재편, 한국고대사논총7, 1995.

김재홍 b, 농업생산력의 발전단계와 전쟁의 양상, 백제사상의 전쟁, 2000.

김재홍 c, 신라 중고기 촌제의 성립과 지방사회구조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1.

노중국, 백제 정치사 연구일조각, 1988.

안병우, 67세기의 토지제도, 한국고대사논총4, 1992.

이남규, 전기 가야의 철제 농공구, 국사관논총74, 1997.

이우태, 신라의 수리기술, 신라문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13, 1992.

이인재, 신라 통일기 연호(烟戶)의 토지소유, 동방학지777879 합본호, 1992.

이태진, 한국의 농업기술 발달과 문화변천, 과학과 기술299, 1987.

이현혜, 한국 고대의 생산과 교역일조각, 1999.

전덕재 a, 46세기 농업생산력의 발달과 사회변동, 역사와 현실4, 1990.

전덕재 b, 백제 농업기술 연구, 한국고대사연구15, 1999.

곽종철 a, 한국과 일본의 고대 농업기술, 한국고대사논총4, 1991.

곽종철 b, 발굴조사를 통해 본 우리나라 고대의 수전 도작, 한국고대의 도작문화, 2001.

천말선, 철제농구에 대한 고찰, 영남고고학15, 1994.

김기흥 a, 미사리 삼국시기 밭 유구의 농업, 역사학보126, 1995.

김기흥 b, 신라의 수륙겸종농업에 대한 고찰, 한국사연구94, 1996.

하일식, 신라 통일기의 왕실직할지와 군현제청제비 정원명의 역역 동원 사례 분석, 동방학지97, 1997.

東潮, 朝鮮三國加耶時代鐵製農具, 古代東アジアの, 1999.

村上恭通, 倭人考古學, 靑木書店, 1999.

조현종, 농공구의 변천과 생산력의 증대, 한국 고대의 도작문화, 2001.

홍보식, 농기구와 부장 유형영남 지역 2세기 후반4세기대 분묘부장품을 대상으로, 한국고고학보44, 2001.

김도헌, 고대의 철제농구에 대한 연구김해ㆍ부산 지역을 중심으로부산대 석사학위논문, 2001.

 

임나일본부와 고대 한일관계

末松保和, 日韓關係, 岩波講座日本歷史, 東京: 岩波書店, 1933.

末松保和, 任那興亡史, 大八洲出版, 1949(東京: 吉川弘文館, 1956 再版).

江上波夫, 日本民族=文化源流日本國家形成, 民族學硏究133, 1949.

江上波夫, 騎馬民族國家, 東京: 中央公論社, 1967.

김석형, 삼한ㆍ삼국의 일본열도 내 분국에 대하여, 력사과학19631.

김석형, 초기 조일관계 연구, 평양: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井上秀雄, 任那日本府, 東京: 東出版, 1973.

천관우, 복원 가야사(상ㆍ중ㆍ하), 문학과 지성282931, 19771978(가야사연구, 일조각, 1991).

김현구, 大和政權對外關係硏究, 東京: 吉川弘文館, 1985(임나일본부연구, 일조각, 1993).

이기백 편, 한국사시민강좌 11. 임나일본부 특집호, 일조각, 1992.

이영식, 加耶諸國任那日本府, 東京: 吉川弘文館, 1993.

김태식, 가야연맹사, 일조각, 1993.

김태식, 광개토왕릉비문의 任那加羅安羅人戍兵, 한국고대사논총6, 한국고대사회연구소, 1994.

이근우, 일본서기에 인용된 백제삼서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4.

鈴木英夫, 古代倭國朝鮮諸國, 東京: 靑木書店, 1996.

延敏洙, 고대한일관계사, 혜안, 1998.

 

한국 중세는 언제 시작되었나

조기준ㆍ이기백 외, 한국사시대구분론, 을유문화사, 1970.

木村誠, 한국 전근대의 시대구분, 신조선사입문, 1981(조성을ㆍ염인호 역, 새로운 한국사입문, 돌베개, 1983).

이희덕, 중세의 기점에 대하여, 국사관논총50, 국사편찬위원회, 1993.

배항섭, 남한 학계의 전근대 시대구분과 사회성격 논의, 한국사24, 한길사, 1994.

송호정, 북한 학계의 전근대 시대구분과 사회성격 논의, 한국사24, 한길사, 1994.

서영대ㆍ노중국 외, 한국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이태진ㆍ김영하 외, 한국사의 시대구분고대와 중세, 한국고대사연구8, 신서원, 1995.

차하순ㆍ이기동 외, 한국사시대구분론, 소화, 1995.

박종기, 한국사의 중세기점과 중세사회론, 경제사학21, 1996.

이경식, 한국사연구와 시대구분론, 한국사인식과 역사이론, 지식산업사, 1997.

 

고려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백남운, 조선사회경제사개조사, 1933(하일식 역, 이론과실천사, 1994).

백남운, 조선봉건사회경제사, 1937(하일식 역, 이론과실천사, 1994).

前田直典, 동아시아에서 고대의 종말, 중국사의 시대구분, 도쿄: 동경대출판부, 1957.

旗田巍, 고려시대 토지의 적장자상속과 노비의 자녀균분상속(1957), 조선중세사회사의 연구, 도쿄: 호세이대출판국, 1972에 수록.

浜中昇, 고려의 역사적 위치에 대하여, 조선 고대의 경제와 사회, 도쿄: 호세이대출판국, 1986.

이우성, 신라시대의 왕토사상과 공전(1965),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일조각, 1991.

김용섭, 전근대의 토지제도, 한국학입문, 학술원, 1983,

김기흥, 한국사의 고중세 시대구분, 한국고대사연구8, 한국고대사연구회, 1995,

이인재, 신라 통일기 토지제도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1995,

이기백, 한국사의 발전과 지배세력(1970), 한국사신론(개정판), 일조각, 1978.

이기백, 성종대 정치적 지배세력, 한국사4, 국사편찬위원회, 1974.

변태섭, 고려조의 문반과 무반(1961), 고려정치제도사연구, 일조각, 1971.

변태섭, 고려의 귀족사회, 한국사의 반성, 신구문화사, 1969.

안확, 조선문명사, 1934.

손진태, 조선민족사개론, 1948.

박창희, 고려시대 관료제에 대한 고찰, 역사학보58, 1973.

박창희, 고려의 양반공음전시법의 해석에 대한 재검토, 한국연구원논총22, 이화여대, 1973.

박창희, 한인전론에 대한 재검토, 한국연구원논총27, 1976.

박창희, 고려시대 귀족제사회설에 대한 재검토, 백산학보23, 1977.

김의규 편, 고려사회의 귀족제설과 관료제론, 지식산업사, 1985.

박용운, 고려 가산관료제설과 귀족제설에 대한 검토, 사총2122 합본호, 1977.

허흥식, 고려 과거제도사 연구, 일조각, 1981.

박용운, 고려시대 과거제와 음서제 연구, 일지사, 1990.

김용선, 고려음서제도연구, 일조각, 1991.

유승원, 고려사회를 귀족사회로 보아야 할 것인가, 역사비평1997년 봄호.

박용운, 고려는 귀족사회임을 다시 논함, 한국학보9394, 1998.

김용선, 고려 문벌의 구성요건과 가계, 한국사연구93, 1996.

채웅석, 고려시대의 국가와 지방사회, 서울대출판부, 2000.

박종기, 고려사회의 역사적 성격, 한국사5, 한길사, 1994.

박종기, 민족사에서 차지하는 고려의 위치, 역사비평1988년 겨울호.

박종기, 5백년 고려사, 푸른역사, 1999.

 

고려 초기의 정치체제와 호족연합정권

旗田巍, 高麗王朝成立期豪族, 法制史硏究10, 1960.

旗田巍, 朝鮮中世社會史硏究, 도쿄: 호세이대출판국, 1972.

하현강, 고려왕조의 성립과 호족연합정권, 한국사4, 1977.

박창희, 고려 초기 호족연합정권설에 대한 검토귀부호족의 정치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사의 시각, 영언문화사, 1984.

엄성용, 고려 초기 왕권과 지방호족의 신분 변화호족연합정권설에 대한 검토, 고려사의 제문제, 1986.

정경현, 고려 태조대의 순군부에 대하여, 한국학보48, 1987.

황선영, 고려 초기 왕권 연구, 동아대출판부, 1988.

이기백,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일조각, 1990.

김갑동, 호족연합정권설의 검토, 나말여초의 호족과 사회변동 연구, 고려대학교출판부, 1990.

이순근, 신라말 지방세력의 구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2.

신호철, 후삼국시대 호족연합정치, 한국사상의 정치형태, 일조각, 1993.

채웅석, 고려시대의 국가와 지방사회본관제의 시행과 지방지배질서, 서울대출판부, 2000.

윤경진, 나말여초 성주(城主)의 존재양태와 고려의 대성주정책, 역사와 현실40, 2001.

 

전시과체제에서 사전의 성격

和田一郞, 朝鮮土地制度及地稅制度調査報告書, 朝鮮總督府, 1920.

백남운, 조선봉건사회경제사 (), 개조사, 1937.

深谷敏鐵,朝鮮土地制度一斑いわゆる科田法中心として(),史學雜誌5056,1939.

김석형, 조선 봉건시대 농민의 계급구성, 북한 과학원출판사, 1959(신서원, 1993 재편집).

이우성, 고려의 영업전, 역사학보28, 1965.

강진철, 고려토지제도사연구, 고려대출판부, 1980.

이성무, 공전ㆍ사전ㆍ민전의 개념고려ㆍ조선 초기를 중심으로, 조선초기양반연구, 일조각, 1980.

김당택, 고려시대 사전의 개념에 대한 재검토」 『진단학보5354합병호, 1982.

박종진, 고려초 공전ㆍ사전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한국학보37, 1984.

浜中昇, 朝鮮古代經濟社會, 東京: 法政大學出版部, 1986.

홍승기, 고려시대 사전에 대한 일고, 이병도구순기념한국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7.

신영복, 존재론에서 관계론으로, 우리교육1998. 6.

佐佐木稚幸, 創造都市經濟學, 勁草書房, 1997.

 

고려시대의 농업생산력은 어느 정도였나

宮嶋博史, 朝鮮史硏究所有論, 人文學報167, 1984.

이경식, 고려 전기의 평전과 산전, 이원순교수화갑기념사학논총, 1986.

이태진, 한국 사회사 연구, 지식산업사, 1986.

이태진, 사회사적으로 본 한국 중세의 시작, 고대와 중세 한국사의 시대구분, 1995.

위은숙, 나말여초 농업생산력의 발전과 그 주도세력, 釜大史學9, 1985.

위은숙, 고려 후기 농업 경제 연구, 혜안, 1998.

여은영, 고려시대의 양전제, 교남사학2, 1986.

浜中昇, 朝鮮古代經濟社會, 東京: 法政大學出版局, 1986.

이호철, 조선 전기 농업경제사, 한길사, 1986.

김기섭, 고려 전기 농민의 토지소유와 전시과의 성격, 한국사론17, 1987.

민성기, 조선농업사연구, 일조각, 1988.

강진철, 한국중세토지소유연구, 일조각, 1989.

이우태, 신라의 양전제결부제의 성립과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국사관논총37, 1992.

이우태, 전결제, 한국사14, 국사편찬위원회, 1993.

이종봉, 고려시대 도량형제 연구, 부산대 박사학위논문, 1999.

김용섭, 한국중세농업사연구, 지식산업사, 2000.

 

고려시대의 신분제

김광수, 중간계층, 한국사5, 국사편찬위원회, 1975.

허흥식, 고려시대의 신분구조, 고려사회사연구, 아세아문화사, 1981.

김의규 편, 고려사회의 귀족제설과 관료제론, 지식산업사, 1985.

유승원, 양천제의 연혁, 조선 초기 신분제 연구, 일조각, 1987.

유승원, 고려사회를 귀족사회로 보아야 할 것인가, 역사비평1997년 봄호.

주웅영, 고려조 신분제 연구의 성과와 과제, 역사교육논집10, 경북대 역사교육학회, 1987.

구산우, 고려 시기 부곡제의 연구성과와 과제, 부대사학12, 부산대 사학회, 1988.

박종기, 고려시대 부곡제 연구, 서울대출판부, 1990.

홍승기, 신분제도, 한국사15, 국사편찬위원회, 1995.

권영국, 신분구조와 직역, 한국역사입문2, 풀빛, 1995.

채웅석, 고려시대 향촌지배질서와 신분제, 한국사6, 한길사, 1995.

박용운, 고려는 귀족사회임을 다시 논함 (), 한국학보9394, 일지사, 19981999.

채웅석, 고려 중간계층의 존재양태, 고려조선 전기 중인 연구, 신서원, 2001.

 

26위는 어떤 이들로 구성되었을까

백남운, 11편 고려의 병제, 조선봉건사회경제사, 1937.

內藤鐫輔, 高麗兵制管見, 靑丘學叢1516, 1934(滿鮮史硏究, 1961).

김종국, 고려의 부병에 대하여, 입정사학23, 1959.

강진철, 고려 초기의 군인전, 숙명여대논문집3, 1963.

이기백, 고려병제사연구, 일조각, 1968.

장동익, 고려 전기의 선군, 고려사의 제문제, 삼영사, 1986.

서일범, 試論高麗前期兵制與唐朝府兵制的主要區別, 朝鮮歷史硏究論叢, 延邊大出版社, 1987.

정경현, 고려 전기 이군육위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2.

오영선, 고려 전기 군인층의 구성과 위숙군의 성격, 한국사론28, 1992.

홍승기, 고려 초기 경군의 이원적 구성론에 대하여, 이기백선생고희기념한국사학논총, 일조각, 1994.

홍원기, 고려 전기 군제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1998.

권영국, 고려 전기 군역제의 성격과 운영, 국사관논총87, 1999.

 

삼별초는 어떤 조직인가

김상기, 삼별초와 그의 난에 대하여」 『진단학보91013, 19381941.

김상기, 동방문화교류사논고, 을유문화사, 1948.

강진철, 몽고의 침입에 대한 항쟁, 한국사7, 1973.

김윤곤, 삼별초의 대몽항전과 지방 군현민, 동양문화2021, 1981.

이우성, 삼별초의 천도항몽운동과 대일통첩, 한국의 역사상, 1982.

김당택, 고려 무인정권 연구, 새문사, 1987.

신안식, 고려 중기의 별초군, 건대사학7, 1989.

민병하, 고려 무신 정권 연구, 성균관대 출판부, 1990.

박종기, 12, 13세기 농민 항쟁의 원인에 대한 고찰, 동방학지69, 1990.

채웅석, 12, 13세기 향촌사회의 변동과 의 대응, 역사와 현실3, 1990.

윤용혁, 고려 대몽항쟁사 연구, 일지사, 1991.

이익주, 고려 후기 몽고 침입과 민중 항쟁의 성격, 역사비평24, 1994.

 

원 간섭기 개혁정치의 성격

이우성, 고려조의 에 대하여, 역사학보23, 1964.

민현구, 신돈의 집권과 그 정치적 성격(상ㆍ하), 역사학보3840, 1968.

민현구, 고려 후기의 권문세족, 한국사8, 국사편찬위원회, 1974.

민현구, 정치도감의 설치 경위, 논문집인문과학편 11, 국민대학, 1977.

민현구, 정치도감의 성격, 동방학지2324합집, 1980.

이기남, 충선왕의 개혁과 사림원의 설치, 역사학보52, 1971.

이태진, 고려말ㆍ조선초의 사회변화, 진단학보55, 1983.

박종진, 충선왕대의 재정 개혁책과 그 성격, 한국사론9, 1983.

노용필, 홍자번의 편민십팔사에 대한 연구, 역사학보102, 1984.

권영국, 14세기 각염제의 성립과 운용, 한국사론13, 서울대 국사학과, 1985.

권영국, 14세기 전반 개혁정치의 내용과 그 성격, 역사와 현실7, 1992.

김광철, 고려 충렬왕대 정치세력의 동향, 논문집71, 창원대학교, 1985.

김광철, 고려 후기 세족층 연구, 동아대출판부, 1991.

이익주, 고려 충렬왕대의 정치상황과 정치세력의 성격, 한국사론18, 서울대 국사학과, 1988.

이익주, 충선왕 즉위년(1298) ‘개혁정치의 성격, 역사와 현실7, 1992.

이익주, 공민왕대 개혁의 추이와 신흥유신의 성장, 역사와 현실15, 1995.

이익주, 고려ㆍ원관계의 구조에 대한 연구소위 세조구제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론36, 서울대 국사학과, 1996.

이익주, 고려말 신흥유신의 성장과 조선 건국, 역사와 현실29, 1998.

김당택, 충렬왕의 복위 과정을 통해 본 천계 출신 관료와 사족출신 관료의 정치적 갈등사대부의 개념에 대한 검토, 동아연구17, 서강대 동아연구소, 1989.

김당택, 원 간섭하의 고려 정치사, 일조각, 1998.

김순자, 원 간섭기 민의 동향, 역사와 현실7, 1992.

신안식, 대몽항쟁기 민의 동향, 역사와 현실7, 1992.

한국역사연구회 14세기 고려사회성격 연구반, 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1994.

 

고려ㆍ조선의 친족제도

旗田巍, 朝鮮中世社會史硏究, 東京: 法政大學出版局, 1972.

노명호, 산음장적을 통해 본 17세기 초 촌락의 혈연양상, 한국사론5, 1979.

노명호, 고려의 오복친과 친족관계 법제, 한국사연구33, 1981.

노명호, 고려 시기의 승음혈족과 귀족층의 음서기회, 김철준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1983.

노명호, 이자겸 일파와 한안인 일파의 족당세력」 『한국사론17, 1987.

노명호, 고려시대의 토지상속, 중앙사론6, 1989.

노명호, 전시과체제하 백정 농민층의 토지소유토지상속제와 관련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사론23. 1990.

허흥식, 고려사회사연구, 아세아문화사, 1981.

신호철, 고려시대의 토지상속에 대한 재검토, 역사학보98, 1983.

최재석, 한국 가족제도사 연구, 일지사, 1983.

권두규, 고려시대의 별적이재금지법과 가족규모, 경북사학13, 1990.

권두규, 고려시대 관인의 친족범위, 안동사학1, 1994.

역사학회 편, 한국 친족제도 연구, 1992.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조선왕조 성립을 어떻게 볼 것인가

麻生武龜,李朝建國政權推移, 靑丘學叢5, 1931.

이상백, 이조 건국의 연구, 을유문화사, 1947.

이성무, 조선 초기 양반 연구, 일조각, 1980.

김준석, 조선 전기의 사회사상, 동방학지26, 1981.

김준석, 유교정치론, 한국사인식과 역사이론(김용섭교수정년기념한국사학론총 l), 지식산업사, 1997.

한영우, 정도전 사상의 연구, 서울대출판부, 1983.

한영우, 조선 전기 사회경제 연구, 을유문화사, 1983.

한영우, 이상백과 조선 건국사 연구, 우리 역사와의 대화, 을유문화사, 1992.

이경식, 조선 전기 토지제도 연구, 일조각, 1986.

이태진, 한국 사회사 연구, 지식산업사, 1986.

이태진, 조선 유교사회사론, 지식산업사, 1989.

정두희, 조선 전기 지배세력의 형성과 변천, 한국사회발전사론, 일조각, 1992.

오종록, 중세 후기로서의 조선사회조선사회의 성립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18, 1995.

도현철, 고려말 사대부의 정치사상 연구, 일조각, 1999.

 

훈구와 사림

이태진,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범조사, 1985

이태진, 한국 사회사 연구, 지식산업사, 1986.

이태진, 조선 유교사회사론, 지식산업사, 1989.

최승희, 조선 초기 언관 언론 연구,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976.

이병휴, 조선 전기 영남 사림파 연구, 일조각, 1984.

이수건, 한국 중세사회사 연구, 일조각, 1984.

정두희, 조선 성조조의 대간 연구, 한국연구소, 1986.

최이돈, 조선 중기 사림정치구조 연구, 일조각, 1994.

정홍준, 조선 중기 정치권력구조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6.

김돈, 조선 전기 군신 권력관계 연구, 서울대출판부, 1997.

김우기, 조선 중기 척신정치 연구, 집문당, 2001.

 

인조반정과 서인 정권

이태진, 조선 후기의 정치와 군영제 변천, 한국연구원, 1985.

오수창, 인조대 정치세력의 동향, 한국사론13, 서울대 인문대학 국사학과, 1985.

정옥자, 병자호란시 언관의 위상과 활동, 한국문화12,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991.

이성무ㆍ정만조 외, 조선 후기 당쟁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정만조, 조선시대의 사림 정치17세기의 정치형태, 한국사상의 정치형태, 일조각, 1993.

권인호, 조선 중기 사림파의 사회정치사상, 한길사, 1995.

한명기, 반정과 쿠데타, 전통과 현대1997년 가을호.

지두환, 인조대의 대동법 논의, 역사학보155, 역사학회, 1997.

이상필, 한국 유학사상 남명학파의 위상(1)인조반정을전후한시기의정신사적인식을중심으로, 남명학 연구8, 경상대 남명학연구소, 1998.

이기순, 인조ㆍ효종대 정치사 연구, 국학자료원, 1998.

 

실학,환상인가 실체인가

천관우, 반계 유형원 연구실학 발생에서 본 이조사회의 일 단면, 역사학보23, 19521953.

최익한, 실학파와 정다산, 청년사(복각판), 1955.

한우근, 이조 실학의 개념에 대하여, 진단학회19, 1958.

김용섭, 최근의 실학 연구에 관하여, 역사교육6, 1962.

이우성, 실학 연구 서설, 실학 연구 입문, 일조각, 1973.

김용섭, 조선 후기의 농업 문제와 실학, 동방학지17, 1976.

박충석, 한국정치사상사, 삼영사, 1982.

강재언, 정창렬 역, 한국의 개화사상비봉출판사, 1979.

김현영, 실학 연구의 반성과 전망, 한국 중세사회 해체기의 제문제 (), 한울, 1987.

지두환, 조선 후기 실학 연구의 문제점과 방향, 태동고전연구3, 1987.

임형택, 실사구시의 한국학, 창작과비평사, 2000.

 

내재적 발전론과 한국사인식

中塚明, 내재적 발전론과 제국주의 연구, 新朝鮮史入門, 龍溪書舍, 1981.

橋谷弘, 한국사에 있어서 근대와 반근대, 歷史評論500, 1991. 12.

竝木眞人, 전후 일본에서의 조선 근대사 연구의 현단계, 歷史評論482, 1990. 6.

吉野誠, 조선사에 있어서 내재적 발전론, 東海大學文學部紀要47, 1987.

宮嶋博史, 방법으로서의 동아시아동아시아 삼국에 있어서 근대로의 이행을 둘러싸고, 歷史評論412, 1984.

宮嶋博史, 근대 극복 지향형 내셔널리즘과 새로운 朝鮮史像, 歷史批判3, 1986.

방기중, 한국 근현대 사상사 연구193040년대 백남운의 학문과 정치경제사상, 역사비평사, 1992.

梶村秀樹, 朝鮮史方法(梶村秀樹著作集 2), 明石書店, 1993.

박찬승, 분단시대 남한의 한국사학,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 창작과비평사, 1994.

이영호, 해방후 남한 사학계의 한국사인식, 한국사23, 한길사, 1994.

김인걸, 196070년대 내재적 발전론과 한국사학, 한국사인식과 역사이론, 지식산업사, 1997.

김도형, 근대사회 성립론, 한국사인식과 역사이론, 지식산업사, 1997.

이세영, 한국사 연구와 과학성, 청년사, 1997.

 

근현대

 

단발과 근대성

Sukman Jang, The Politics of Haircutting in Korea: A Symbol of Modernity and the ‘Rightious Army Movement’(1895~1896), Review of Korean Studies 1, September 1998.

 

대한제국의 역사적 평가

김도형, 대한제국기의 정치사상연구, 지식산업사, 1994.

김용섭, 서평: 독립협회 연구, 창작과비평1978년 여름호.

김용섭, 한국근대농업사연구12 일조각, 1984.

나애자, 대한제국의 권력구조와 광무개혁, 한국사11, 1994.

서영희, 광무 정권의 국정 운영과 일제의 국권 침탈에 대한 대응,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8.

송병기, 광무개혁 연구그 성격을 중심으로, 사학지10, 1976.

신용하, 광무개혁론의 문제점대한제국의 성격과 관련하여, 창작과비평1978년 가을호.

신용하, 독립협회연구독립신문ㆍ독립협회ㆍ만민공동회의 사상과 운동, 일조각, 1976.

양상현, 대한제국기 내장원 재정관리 연구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7.

이태진 편, 일제의 대한제국 강점, 까치, 1995.

전우용, 19세기 말 20세기 초 한인회사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7.

주진오, 19세기 후반 개화개혁론의 구조와 전개독립협회를 중심으로연세대 박사논문, 1996.

진덕규, 대한제국의 권력구조에 관한 정치사적 인식, 대한제국연구12, 19831984.

한국역사연구회 토지대장연구반, 대한제국의 토지조사사업, 민음사, 1995.

 

을사조약은 성립되었는가

백충현, 국제법으로 본 1900년대 한일조약들의 문제점, 한국사 시민강좌19, 일조각, 1996.

이상찬, 1900년대 초 일본과 맺은 조약들은 유효한가, 일본의 본질을 다시 묻는다, 한길사, 1996.

이태진 편, 일본의 대한제국 강점, 까치, 1995.

 

개신교와 전통사상의 충돌

노치준, 일제하 한국 기독교 민족운동 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3.

박효생, 한국의 개화와 기독교, 한국 기독교와 민족운동, 종로서적, 1986.

신광철, 천주교와 개신교: 만남과 갈등의 역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8.

심일섭, 한국 신학 형성사 서설: 한국 기독교 토착화 문제와 복음 선교의 전망, 한국의 신학사상, 대한기독교서회, 1983.

유동식, 종교ㆍ문화적 토착화사상의 전통, 한국감리교회사상사, 전망사, 1993.

이덕주, 초기 한국 기독교인들의 신앙 양태 연구: 토착화 신학에 대한 역사신학적 접근, 초기 한국기독교사 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5.

이덕주ㆍ조이제 엮음, 한국 그리스도인들의 신앙고백, 한들, 1997.

이만열, 한말 기독교와 민족운동, 평민서당, 1986.

장동민, 박형룡의 신학 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8.

차옥숭 편, 기독교사 자료집 권1, 한국종교사회연구소, 1993.

최정민, 한국교회논쟁사: 이야기로 푸는 역사, 이레서원, 1994.

 

김윤식 사회장 파동

박종린, 김윤식 사회장찬반 논의와 사회주의세력의 재편, 1920년대 전반기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한국역사연구회 제68회 연구발표회 발표요지, 1999.

박종린, 꺼지지 않은 불꽃, 송산 김명식, 진보평론2, 현장에서 미래를, 1999.

박철하, 북풍파 공산주의 그룹의 형성, 역사와 현실28, 한국역사연구회, 1998.

이애숙, 192224년 국내의 민족통일전선운동, 역사와 현실28, 1998.

이현주, 국내 임시정부 수립운동과 사회주의세력의 형성(19191923)서울파ㆍ상해파를 중심으로, 인하대 박사학위논문, 1999.

임경석, 서울파 공산주의 그룹의 형성,역사와 현실28, 1998.

 

물산장려운동과 민족주의ㆍ사회주의

강영심, 1920년대 조선물산장려운동의 전개와 성격, 국사관논총47, 1993.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2.

방기중, 192030년대 조선물산장려회 연구, 국사관논총67, 1996.

오미일, 191020년대 평양 지역 민족운동과 조선인 자본가층, 역사비평1995년 봄호.

류시현, 나경석의 생산증식론과 물산장려운동, 역사문제연구2, 역사문제연구소, 1997.

윤해동, 일제하 물산장려운동의 배경과 그 이념, 한국사론27, 서울대 국사학과, 1992.

이애숙, 1922~1924년 국내의 민족통일전선운동, 역사와 현실28, 1998.

이윤희, 일제하 물산장려운동의 조직과 기능, 경희사학1617합집, 1991.

장상수, 일제하 1920년대의 민족 문제 논쟁, 한국의 근대국가 형성과 민족 문제한국사회사연구회 논문집 1, 문학과지성사, 1986.

조기준, 조선 물산장려운동의 전개 과정과 그 역사적 성격, 역사학보41, 1969.

진덕규, 1920년대 국내 민족운동에 관한 고찰물산장려운동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민족주의론, 창작과 비평사, 1982.

 

임시정부 개조론과 창조론

김희곤, 국민대표회의와 참가단체의 성격, 중국 관내 한국 독립운동단체 연구, 지식산업사, 1995.

박윤재, 1920년대 초 민족통일전선운동과 국민대표회의, 학림17, 1997.

박은식 등, 아동포에게 고함,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 국회도서관, 1976.

새셥, 분열의 원인과 통일의 방략, 독립신문1922. 7. 8.

조철행, 국민대표회의(19211923)연구, 사총44, 1995.

KB, 국민대표회의 목표, 독립신문1922. 12. 23.

KB, 국민대표회의에 대하야(상ㆍ중ㆍ하), 독립신문1922. 8. 11222.

국민대표회의에서 토론되는 시국문제에 대하야, 독립신문1923. 3. 7.

대표회의파열진상, 독립신문1923. 6. 13.

안창호의 연설, 독립신문1921. 5. 21.

 

이승만의 독립운동

고정휴, 구미주차한국위원회의 초기조직과 활동, 1919~1922, 역사학보134135, 1992.

고정휴, 2차 세계대전기 재미한인사회의 동향과 주미외교위원부의 활동, 국사관논총49, 1993.

고정휴, 태평양문제연구회 조선지회와 조선사정조사연구회, 역사와현실6, 1991.

민찬호ㆍ안현경ㆍ리종관, 위임통치에 대한 사실(1921, 5), 우남이승만문서 동문편8, 중앙일보사ㆍ연세대학교 현대한국학연구소, 1998.

방선주, 31운동과 재미한인, 한민족독립운동사 3: 31운동, 국사편찬위원회, 1988.

방선주, 이승만과 위임통치안, 재미한인의 독립운동,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89.

방선주, 1921~22년의 워싱턴회의와 재미한인의 독립청원운동, 한민족독립운동사 6: 열강과 한국독립운동, 국사편찬위원회, 1989.

방선주, 1930년대 재미한인독립운동, 한민족독립운동사 8: 31운동 이후의 민족운동 1, 국사편찬위원회, 1990.

방선주, 1930~40년대 구미에서의 독립운동과 열강의 반응, 매헌윤봉길의사의거 제50주년기념국제학술회의, 1992424일~25일 세종문화회관.

방선주, 미주 지역에서 한국 독립운동의 특성(OSS NAPKO),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제7회 독립운동사 학술심포지움 한국독립운동사연구7, 1993.

손세일, 이승만과 김구, 일조각, 1970.

정한경, 야릇하게 떠드러오는 맨디토리문제의 內容(1921. 6. 15), 같은 책.

 

이광수의 민족개조론에 나타난 민족성

김용달, 이광수의 민족개조론연구, 택와허선도선생 정년기념 한국사학논총, 1992.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123), 한길사, 1986.

박성진, 1920년대 전반기 사회진화론의 변형과 민족개조론, 한국민족운동사연구17, 1997.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2.

서중석, 한국근현대의 민족문제 연구, 지식산업사, 1989.

안태정, 1920년대 일제의 조선지배 논리와 이광수의 민족 개량주의 논리, 사총35, 1989.

 

사회주의세력의 통일전선운동과 정우회 선언

김승, 신간회 위상을 둘러싼 양당론청산론논쟁 연구, 부산사학17, 1993.

배성찬 편역, 식민지시대 사회운동론 연구, 돌베개, 1987.

윤종일, 1920년대 민족협동전선을 둘러싼 사회주의자들의 제논쟁 검토, 경희사학1617, 1990.

이균영, 신간회연구, 역사비평사, 1993.

전명혁, 1920년대 국내 사회주의운동 연구서울파를 중심으로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997.

한상구, 192628년 신간회의 민족협동전선론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93.

 

만주 지역 민족유일당 결성론

김희곤, 중국관내 한국 독립운동단체 연구, 지식산업사, 1995.

노경채, 한국독립당연구, 신서원, 1997.

박영석, 재만한인민족운동사연구, 일조각, 1985.

신주백, 만주 지역 한인의 민족운동사(1920~45), 아세아문화사, 1999.

정원옥, 재만 항일독립운동단체의 전민족유일당운동, 백산학보19, 1975.

황민호, 1920년대 재만한인사회의 민족운동연구, 국학자료원, 1998.

 

국제공산당의 일국일당 원칙이 미친 파장

강덕상 편, 현대사자료29, 국학자료원, 1977. 8.

김준엽ㆍ김창순, 한국공산주의운동사34, 청계연구소, 1986.

박창욱, 간도 대봉기와 조선족 공산주의자들, 간도사신론, 우리들의 편지사, 1993.

費爾南大克勞丁願 著/寥東王 編譯, 共産國際, 斯大林與中國革命, 求實出版社, 1981.

신주백, 만주 지역 한인의 민족운동사(192045), 아세아문화사, 1999.

양환준, 20년대 후기 재만조선공산당인들의 활동, 연변문사자료4, 1985.

황민호, 재만한인사회와 민족운동, 국학자료원, 1998.

費爾南大克勞丁願 著, 寥東王 編譯, 共産國際, 斯大林與中國革命, 求實出版社, 1981.

共産國際有關中國革命文件資料1,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2.

東北地域革命歷史文件匯集, 中央黨案館, 1988. 11.

 

재일조선인의 민족해방운동

김인덕, 식민지시대 재일조선인운동 연구, 국학자료원, 1996.

渡部徹, 日本勞動組合運動史, 靑木書店, 1970.

朴慶植, 在日朝鮮人運動史815解放前, 三一書房, 1979.

岩村登志夫, 在日朝鮮人日本勞動者階級, 校倉書房, 1972.

任展慧, 日本における朝鮮人文學歷史1945まで, 法政大學出版局, 1994.

 

만주동포의 국적과 정체성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編, 淸季中日韓關係史料, 34, 台北 泰東文化社, 1972.

李澍田 主編, 琿春副都統衙門檔案選編, 吉林文史出版社, 1991.

권석봉, 청말 대조선정책 연구, 일조각, 1986.

東亞勸業株式會社, 南滿洲ける土地商租權問題, 1926.

Lytton調査團, Lytton報告書, 中央公論193211月號 別冊, 東京.

淺田喬二, 日本帝國主義下民族革命運動, 高麗書林, 1987.

조선총독부 편, 在滿鮮人支那官憲, 서울, 1932.

박영석, 만보산사건연구, 아세아문화사, 1985.

綠川勝子, 萬寶山事件及朝鮮內排華事件について一考察, 朝鮮史硏究會 編, 朝鮮史硏究會論文集特集 明治百年朝鮮6, 1969.

 

1930년대 조선학 논쟁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민족문화연구 12: 1930년대 국학진흥운동, 1977.

김용섭, 우리나라 근대 역사학의 발달, 한국의 역사인식, 창작과비평사, 1976.

방기중, 한국근현대사상사연구역사비평사, 1992.

이지원, 일제하 안재홍의 현실인식과 민족해방운동론, 역사와현실6, 한국역사연구회, 1991.

이지원, 1930년대 전반 민족주의 문화운동론의 성격, 국사관논총51, 국사편찬위원회, 1994.

이지원, 일제하 문화운동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론26, 국사편찬위원회, 1996.

이지원, 식민교육과 학술, 한국역사입문3, 풀빛, 1996.

조동걸, 연보를 통해 본 정인보와 백남운, 한국독립운동사연구5,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1.

한영우, 한국민족주의역사학, 일조각, 1994.

鶴園裕, 近代朝鮮における國學形成朝鮮學中心, 朝鮮史硏究會論文集35, 1997.

 

일제강점기 단군 논쟁

고북선, 동명왕과 단군, 현대평론19, 1927(민족문화논총1).

권덕규, 조선유기상ㆍ중, 19241926.

김교헌, 신단민사, 1928(한빛15).

김태준, 단군신화연구, 조선중앙일보1935. 12. 624(김태준전집3, 1990).

김태준, 단군론조선 원시사회에의 일 시론, 신천지21, 1947(김태준전집3).

백남운, 단군신화에 대한 비판적 견해, 조선사회경제사, 1933.

사문환, 단군존호의 변, 현대평론15, 1927(민족문화논총1).

손진태, 단군 단군, 문장3, 1939(민족문화논총1).

안자산, 고조선 민족의 이대별, 동광17, 1926(민족문화논총1).

이능화, 고조선 단군, 동광24, 1927(민족문화논총1).

장도빈, 단군사료소발견과 여의 희열, 동광17, 1926(민족문화논총1).

정인보, 오천 년간 조선의 얼, 동아일보1935. 1. 11936. 8. 28.

정인보, 시조 단군, 동아일보1935. 1. 1622(민족문화논총1).

최남선, 불함문화론(1925. 12. 27. 1차 완고), 육당최남선전집2, 1973.

최남선, 단군 부인의 망, 동아일보1926. 2. 1112(육당최남선전집2).

최남선, 단군론, 동아일보1926. 3. 37. 25(육당최남선전집2).

최남선, 단군 급 기 연구, 별건곤323, 1928(민족문화논총1, 1981).

안재홍, 단군론과 기자말살론」 『신조선속간 11, 1935.

안재홍, 조선인의 자기 폄하문화옹호와 如是我觀. 조선일보1935. 121936. 1.

이기백 편, 단군신화논집(증보판), 새문사, 1990.

황의돈, 단군고증에 대한 신기록의 발견, 동광17, 1926(민족문화논총1).

홍기문, 조선신화연구, 1964.

 

서양의학의 도입과 한의학의 근대성

신동원, 일제의 보건의료정책 및 한국인의 건강 상태에 관한 연구, 서울대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1986.

신동원, 한국근대보건의료사, 한울, 1997.

임병묵, 1930년대 한의학 부흥 논쟁, 서울대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1996.

전북한의약조합 편, 한의학의 비판과 해설, 1942.

정근식, 일제하 서양 의료체계의 헤게모니 형성과 동서의학 논쟁, 한국의 사회제도와 사회변동50, 문학과지성사, 1996.

愼蒼健,覇道する王道としての醫學1930年代朝鮮における東西醫學論爭から,思想1998.11.

 

신사참배와 우상숭배

김승태, 한국 기독교와 신사참배 문제,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1.

김승태 엮음, 신사참배 거부 항쟁자들의 증언, 다산글방, 1993.

김승태, 한국 기독교의 역사적 반성, 다산글방, 1994.

김양선, 한국기독교사연구, 기독교문사, 1971.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기독교의 역사 II, 기독교문사, 1990.

韓晳曦, 김승태 역, 일제의 종교침략사, 기독교문사, 1990.

 

우익의 반탁 주장과 좌익의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정지지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91.

송남헌, 해방3년사1~2, 까치, 1985.

최상룡, 미군정과 한국민족주의, 나남, 1988.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 프린스턴대학 출판부, 1981.

 

국대안 파동

강순원, 민립대학 설립운동과 국대안 반대운동, 자본주의사회의 교육, 창작과비평사, 1984.

김남식, 남로당 연구, 돌베개, 1984.

서울대학교 삼십년사 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삼십년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6.

선우기성, 한국청년운동사, 금문사, 1973.

오천석, 한국신교육사(), 광명출판사, 1975.

이광호, 미군정의 교육정책, 해방전후사의 인식2, 한길사, 1985.

이재오, 해방 후 한국 학생운동사, 형성사, 1984.

이철승, 전국학련, 중앙일보ㆍ동양방송, 1976.

최혜월, 미군정기 국대안 반대운동의 성격, 역사비평계간 창간호, 1988.

 

토지개혁과 농지개혁

강정구, 좌절된 사회혁명, 열음사, 1989.

강진국, 헐뜻긴 농지개혁법 초안, 신동아196510월호.

김병태, 농지개혁의 평가와 반성, 한국경제의 전개 과정, 돌베개, 1981.

김성호 외, 농지개혁사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9.

김준보, 농지개혁의 지대사적 논리, 학술원논문집13, 대한민국학술원, 1974.

김준보, 토지개혁론요강, 삼일출판사, 1948.

남로당, 토지개혁의 옳은 노선1947(김남식 편, 남로당연구자료집 1, 1974 수록).

박석두, 농지개혁과 식민지 지주제의 해체, 경제사학11, 1987.

박현채, 한국사회에서 반봉건의 내용과 민주주의, 창비 1987, 창작과비평사, 1987.

장상환, 농지개혁 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제사학89, 1985.

홍성찬, 한국 근대 농촌사회의 변동과 지주층, 지식산업사, 1992.

황한식, 한국농지개혁사연구 (1), 부산상대논집44, 1982.

櫻井浩, 韓國農地改革再檢討, アジア經濟硏究所, 1976.

 

해방 직후 좌우익의 민족문학 논쟁

권영민, 해방직후의 민족문학운동 연구, 서울대출판부, 1986.

김승환, 해방 공간의 현실주의문학 연구, 일지사, 1991.

김윤식, 해방 공간의 문학사론, 서울대출판부, 1989.

김윤식, 해방 공간의 민족문학 연구, 열음사, 1989.

김윤식, 해방 공간 문단의 내면 풍경, 민음사, 1996.

송기한ㆍ김외곤 편, 해방 공간의 비평문학(123), 태학사, 1991.

송희복, 해방기 문학비평 연구, 문학과지성사, 1993.

신형기, 해방 직후의 문학운동론, 화다, 1988.

이우용 편저, 해방 공간의 문학연구(III), 태학사, 1990.

조선문학가동맹 편, 최원식 해제, 건설기의 조선문학, 온누리, 1988.

 

한국전쟁기 도강파와 잔류파

김삼웅, 해방 후 양민학살사, 가람기획, 1996.

김성칠, 역사 앞에서한 사학자의 625일기, 창작과비평사, 1993.

대검찰청 수사국, 좌익사건 실록9, 1972.

박명림, 한국전쟁과 한국정치의 변화, 한국전쟁과 사회구조의 변화, 백산서당, 1999.

박원순, 전쟁부역자 어떻게 처리되었나, 역사비평1990년 여름호.

역사문제연구소 편, 바로 잡아야 할 우리 역사 37장면, 역사비평사, 1993.

조연현, 내가 살아온 한국 문단, 어문각, 1977.

한수영, 분단과 전쟁이 낳은 비극적 역사의 아들들, 역사비평1999년 봄호.

 

북한에서의 노동조합 독자성

김일성, 북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6차회의에서 한 결론(1947), 김일성 저작집 3, 조선로동당출판사 1979.

배손근, 소련의 노동조합에 관한 연구, 노동문제논집8,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1986.

서동만, 北朝鮮におげる 社會主義體制成立(19451961), 도쿄대학 박사학위논문, 1995.

오기섭,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노동행정부의 사명, 인민1947년 신년호(북한관계사료집 13, 1947).

이주철, 북한의 국영기업관리와 노동정책19451948년을 중심으로」 『사총46, 1997.

차문석, 사회주의국가의 노동정책소련ㆍ중국ㆍ북한의 생산성의 정치,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999.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4619471948년도 북한 경제 통계자료집, 1994.

 

북한의 농업협동화와 중공업 우선노선

김성보, 북한의 토지개혁과 농업협동화,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1996.

김성보, 1950년대 북한의사회주의 이행 논의와 귀결, 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역사비평사, 1998.

김연철, 북한의 산업화 과정과 공장관리의 정치(195370): ‘수령제정치체제의 사회경제적 기원,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996.

서동만, 北朝鮮における社會主義體制成立 19451961, 도쿄대학 박사학위논문, 1995.

서동만, 1950년대 북한의 정치 갈등과 이데올로기 상황, 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역사비평사, 1998.

이종석, 조선로동당연구, 역사비평사, 1995.

상급학습반 참고자료 3,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58.

 

북한 문학계의 도식주의 논쟁

권영민 편, 북한의 문학, 을유문화사, 1989.

김성수 편, 우리 문학과 사회주의 리얼리즘 논쟁, 사계절, 1992.

김성수 편, 북한 문학신문 기사 목록, 한림대출판부, 1994.

김재용, 북한 문학의 역사적 이해, 문학과지성사, 1994.

김하명 외, 해방후 우리 문학,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8.

서경석 외, 한국 전후문학의 형성과 전개, 태학사, 1993.

이선영 외 편, 현대문학비평 자료집이북편 234, 태학사, 1993.

조건상 편, 한국 전후문학 연구, 성균관대출판부, 1993.

한설야 외, 2차 조선작가대회 문헌집,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6.

 

북한의 조선 근세사 시기구분

근세및최근세사연구실, 조선 근세사 시기구분 문제에 관한학술토론총화,력사과학1962.6.

김성보, 1950년대 북한의 사회주의 이행논의와 귀결경제학계를 중심으로, 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역사비평사, 1998.

도진순, 북한 역사학계에서 근현대사 시기구분 논쟁과 그 변화, 역사와 현실1, 1989.

이병천 편, 북한학계의 한국 근대사 논쟁사회 성격과 시대구분 문제, 창작과비평사, 1989.

 

1950년대 비구와 대처승의 갈등

강석주ㆍ박경훈 공저, 불교근세백년, 중앙일보사, 1980.

도광, 한국불교승단정화사, 대보사, 1996.

박태균, 1954년 제3대 총선과 정치지형의 변화, 역사와 현실, 1995.

선우도량, 신문으로 본 한국 불교 근현대사, 선우도량출판부, 1995.

임혜봉, 친일불교론(상ㆍ하), 민족사, 1993.

임혜봉, 그 누가 큰 꿈을 꾸었나, 가람기획, 1999.

 

경제개발계획을 둘러싼 공방

경제기획원, 개발연대의 경제정책: 경제기획원 20년사, 1982.

김대환, 경제발전론, 한국방송통신대학, 1991.

김동욱, 19401950년대 한국의 인플레이션과 안정화정책연세대 박사학위논문, 1994.

박태균, 19561964년 한국 경제개발계획의 성립 과정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0.

박희범, 한국경제성장론, 고려대출판부, 1968.

서중석, 민주당 정부의 정치이념, 한국정치의 지배이데올로기와 대항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1994.

이기홍, 경제 근대화의 숨은 이야기, 보이스사, 1999.

최호진, 한국경제의 제문제, 삼중당, 1962.

David Hunter Satterwhite, “The Politics of Economic Development: Coup, State, and the Republic of Koreas First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19621966)”,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1994.

 

4월혁명과 통일논의

김삼규, 통일 독립 공화국에의 길, 사상계19609월호.

김용중, 장면 총리에게 보내는 공개장, 민족일보1961. 2. 19.

노중선, 419와 통일논의, 사계절, 1989.

주요한, 나의 통일방안」 『민국일보1960. 7. 18.

홍석률, 195361년 통일논의의 전개와 성격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6.

 

한일회담 반대파동

대한민국공보부, 한일회담의 어제와 오늘, 1965.

민족문제연구소, 한일협정을 다시 본다, 아세아문화사, 1995.

유병용, 박정희 정부와 한일협정, 1960년대의 대외관계와 남북문제, 백산서당, 1999.

이도성, 실록 박정희와 한일회담, 도서출판 한송, 1995.

이상우, 내막, 서울과 동경 14, 월간조선19827월호.

왜 한일회담을 반대했나: 데모 주동학생들의 주장, 동아일보1964. 4. 16.

 

문학에서의 순수와 참여

고명철, 1960년대 순수ㆍ참여문학 논쟁 연구.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1998.

김유중, 순수와 참여논쟁」 『한국현대시사의 쟁점, 시와시학사, 1991.

오양호, 순수ㆍ참여론의 대립기: 1960년대 평론,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사, 1989.

유문선, 남한 리얼리즘론의 전개 과정, 실천문학1990년 가을호.

전승주, 1960년대 순수ㆍ참여 논쟁의 전개 과정과 그 문학사적 의의, 한국현대 비평가연구, , 1996.

조남현, 순수ㆍ참여 논쟁, 한국 근현대문학 연구입문, 한길사, 1990.

한강희, 1960년대 한국 문학비평 연구,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998.

허윤회, 순수와 참여의 의미, 태학사, 1996.

홍신선 편, 우리 문학의 논쟁사: 순수ㆍ참여론 중심으로, 어문각, 1985.

 

베트남 파병

김기태, 한국의 베트남 참전과 한미관계외국어대 박사학위논문, 1983.

리영희, 베트남전쟁, 두레, 1989.

이삼성, 미국 외교 이념과 베트남전쟁, 법문사, 1996.

이삼성, 20세기의 문명과 야만, 한길사, 1998.

장재혁, 3공화국의 베트남 파병 결정 과정에 관한 고찰,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1997.

경향신문19651967년 발간분.

사상계19641970년 출간분.

신동아1966년 발간분.

조선일보19641967년 발간분.

창작과 비평19721974년 발간분.

 

중산층과 중소기업

임종철, 중산층의 소멸은 필연적이다, 조선일보1966. 1. 29.

이창열, 중산층 소멸론은 거짓이다, 조선일보1966215일자.

임종철, 중산층과 중간계급은 다르다, 조선일보1966. 2. 15.

박희범, 중소기업 소멸론은 탁상공론, 청맥19664월호.

임종철, 중산층의 몰락, 그 필연성, 정경연구19664월호.

신용하, 한국 근대화와 중산층의 개편, 정경연구19664월호.

박희범, 근대화와 중산층, 서울경제신문19664. 1526 연재.

임종철, 중산층 육성론자에 묻는다, 정경연구19665월호.

박희범, 중산층 육성론에 관한 재론, 청맥19666월호.

신용하, 독점 형성과 중소공업의 위치, 정경연구19666월호.

이규동, 중산층 논쟁에 붙인다, 정경연구19667월호.

신용하, 중산층 논쟁의 총결산, 청맥19668월호.

 

고속도로와 지역불균등발전

국토개발연구원, 고속도로 사업효과 조사, 1995.

국회사무처, 건설위원회 회의록, 각년도.

기우식, 경부고속도로의 경제학, 신동아19709월호.

김정렴, 한국 경제정책 30년사, 중앙일보사, 1992.

손정목, 경부고속도로 건설의 과정과 결과, 한국 현대도시의 발자취, 일지사, 1988.

심연섭, 경부고속도로안경모와의 인터뷰, 세대19682월호.

취재부, 경부고속도로100인의 의견, 세대19681월호.

한국도로공사, 땀과 눈물의 대서사시고속도로 건설비화, 198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60년대의 정치사회변동, 백산서당, 199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60년대 사회변화 연구: 1963~1970, 백산서당, 1999.

 

한국적민주주의와 유신체제

갈봉근, 유신헌법 해설, 광명출판사, 1975.

김동춘, 1960, 70년대 민주화운동은 10월유신을 저지하지 못했는가, 분단과 한국사회, 역사비평사, 1997.

김재홍, 박정희 살해 사건 비공개 진술 녹음, 동아일보사, 1994.

동아일보사 편, 현대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박정희와 516, 동아일보사, 1990.

박정희, 우리 민족의 나아갈 길, 1962.

박정희, 국가와 혁명과 나, 1963.

역사문제연구소 편, 한국 정치의 지배이데올로기와 대항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1994.

한국산업사회연구회 편, 한국사회와 지배이데올로기, 녹두, 1991.

한국정치연구회 정치사분과, 한국 현대사 이야기 주머니 2, 3, 녹두, 1993.

한국정치연구회 편, 박정희를 넘어서, 푸른숲, 1998.

한승조, 한국 정치의 지도 이념: 유신 개벽사상의 과거ㆍ현재ㆍ미래, 서향각, 1977.

 

1970년대 청년문화론

김병익, 청년문화와 매스컴, 신문평론197411월호.

남재희, 청춘문화론젊은 세대의 문화형성고, 세대19702월호.

대학신문 편집부, 지금은 진정한 목소리가 들려야 할 때다, 대학신문(서울대), 1974. 6. 3.

최인호, 청년문화선언, 한국일보1974. 4. 24.

한완상, 현대청년문화의 제문제, 신동아19746월호.

 

입시제도와 평준화 논쟁

김신복, 고교 평준화정책의 공과와 개선 방향, 새교육198410월호.

김윤태, 고교 평준화정책의 평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781979.

김종철, 고교 평준화정책을 진단한다, 사학1984년 가을호.

심성보, 현대 한국 중등교육정책의 역사적 평가, 현대 한국 교육의 재평가, 집문당, 1993.

이규환, 입시 부활은 민주화의 역행이다, 신동아19904월호.

이규환, 고교 입시 부활, 이렇게 본다, 한겨레신문1990. 2. 18.

허병기, 고교 평준화정책과 교육의 평등, 교육진흥1989년 여름호.

황명주, 현장에서 본 중등 교육의 문제평준화정책과 대학 입시방법을 중심으로, 교육진흥1988년 가을호.

 

역사 연구에서의 현재성

강만길, 국사학의 현재성 부재 문제, 한국학보5, 1976.

강만길, 분단시대 사학의 반성, 분단시대의 역사인식, 창작과비평사, 1978.

이기백, 한국사 이해에서의 현재성 문제, 문학과지성1978년 여름호.

양병우, 통일지향 민족주의 사학의 허실강만길 교수의 분단시대 사학 극복론에 대하여, 문학과지성1980년 봄호.

 

민중과 민중사학

박현채, 민족경제와 민중운동, 창작과비평사, 1988.

유재천 편, 민중, 문학과 지성사, 1985.

한국신학연구소, 한국민중론, 1984.

한상진, 민중의 사회과학적 인식, 문학과지성사, 1987.

한신대학 제3세계문화연구소, 한국 민중론의 현단계, 돌베개, 1989.

한완상, 민중사회학, 종로서적, 1984.

 

6월항쟁 시기 NLCA논쟁

강신철 외, 80년대 학생운동사, 형성사, 1989.

권형철, 한국변혁운동논쟁사, 일송정, 1990.

박현채ㆍ조희연 편, 한국사회구성체 논쟁III, 죽산, 1989.

편집부 편, 학생운동논쟁사, 일송정, 1988.

편집부 편, 팜플렛: 정치노선, 일송정, 1988.

80년대 신문자료모음불꽃으로 살아

 

1987년 대통령선거논쟁

김도연, 대통령선거 투쟁전술 논쟁, 80년대 한국사회 대논쟁집, 중앙일보사, 1990.

민족민주운동연구소, 민통련: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평가서 (1), 1989.

민족민주운동연구소, 국민운동본부: 민주쟁취국민운동본부 평가서, 1989.

박현채ㆍ조희연 편, 한국사회구성체논쟁, 죽산, 1989.

안암연구실 편, ’87선거 평가와 전망, 백산서당, 1988.

인노련, 정세와 실천2, 1987. 10. 18.

인천지역민주노동자연맹 엮음, 인노련선집: 8788년 정치위기와 노동운동, 거름, 1991.

조현연, 한국정치변동의 동학과 민중운동: 1980년에서 1987년까지, 외국어대 박사학위논문, 1997.

채만수, 선거전술론: 필연적으로 예비되었던 분열이 현실화되었던 논쟁, 80년대 사회운동논쟁, 한길사, 1989.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군부독재 종식과 선거투쟁, 민중사, 1987.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대통령선거투쟁: 민족민주운동의 논리와 실천, 민중사, 1988.

한국사회연구소 엮음, 대중 정당: 민족민주대중정당의 이론과 현실, 백산서당, 1989.

 

노동운동과 제3자개입금지 조항

국회 노동위원회, 노동관계법개정공청회(미간행 자료집), 1988. 12. 10.

김기섭, 신구노동법에 있어서 제3자개입금지 완화라는 개정 방향에 대하여, 변호사28, 1991. 」「」

노사관계개혁위원회, ’96노동관계법ㆍ제도개혁안, 1996. 11.

민주노총, 노동법 개정과 노사관계 개혁 방향(미간행 정책토론자료), 1996.5. 17.

박주현, 3자개입 금지 합헌 결정에 대하여, 노동판례35, 1991.

신인령, 노동기본권 옹호를 위한 현행 노동법 소고, 김치선 박사 화갑기념 논집, 박영사, 1983.

신인령, 1980년 노동법 개정의 배경, 현실과 전망 1, 풀빛출판사, 1984.

신인령, 노동법에 대한 위헌심사판례 연구 (1), 사회과학논집, 이화여대 법대, 1990.

장명국 원장과 구속노동자석방을 위한 준비모임, 노동운동과 국가보안법 공청회자료집(미간행), 1990. 7. 21.

전노협백서발간위원회, 전노협백서113, 1997.

 

노동자의 정치참여 논쟁

김세균, 계급운동과 국가, 한국정치연구회(), 현대자본주의 정치이론, 백산서당, 1989.

김세균, 한국 민주주의와 노동자ㆍ민중정치, 현장에서 미래를, 1997.

김수곤, 노동조합의 역할성숙한 실리적 노동운동을 바람, 현대노사19916월호.

김수곤, 경제 환경 변화와 노사관계제도의 개선 방안, 한국경제연구원, 1995.

김윤환, 전환기의 노조 정치활동의 이념과 활동, 현대노사19894월호.

나문섭, 정치활동은 당연한 노조의 책무, 현대노사19884월호.

박기영, 90년대 한국 노동운동이 가야 할 방향, 한국논단7, 19903월호.

부천상공회의소, 국기를 뒤흔드는 불순노동운동수도권의 활동상과 실체, 부천상의 소식105, 19871월호.

손호철, 수평적 정권 교체’, 한국정치의 대안인가, 정치비평창간호, 1996.

우병규, 노사 분규에 대한 상반된 시각노사 간의 세력균형을 위하여, 국회보252, 198710월호.

유관환, 민주노총의 정체민주노조로 위장한 좌익 노동운동의 기수, 민족정론44, 19973월호.

이춘선, 근로자를 위한 노조의 정치활동, 현대노사19884월호.

조남현, 노동자의 정치세력화 추구할 듯, 민족정론55, 19982월호.

한국노총, 사업보고, 1988.

함종한, 노사 분규 근원의 새로운 인식과 대응 방향, 국회보261, 19887월호.

황태연, 한국의 지역 패권적 사회구조와 지역혁명의 논리, 정치비평창간호, 1996.

 

보안감호처분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반민주악법 개폐에 관한 의견서, 역사비평사, 1989.

박지현, 보안관찰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99.

서울지역법학과대표자협의회, 외로운 저항, , 1988.

조국 편, 사상의 자유, 살림터, 1992.

 

박정희 신드롬

김일영, 박정희체제 18: 발전 과정에 대한 분석과 평가, 한국정치학회보29: 2, 1995. 손호철, 박정희 정권의 재평가: 개발 독재 바람직했나, 현대한국정치, 사회평론, 1997.

이병천, 냉전분단체제, 권위주의 정권, 자본주의 산업화: 한국의 경험, 동향과 전망1995년 겨울호.

조갑제,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15, 조선일보사, 19981999.

진중권, 네 무덤에 침을 뱉으마12, 개마고원, 1998.

최장집, 박정희와 한국현대사, 대화1995년 여름호.

한국정치연구회, 박정희를 넘어서, 푸른숲, 1998.

 

Comments